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
Friedrich II
막스 바라크의 독일 황제록의 프리드리히 2세.
막스 바라크의 독일 황제록의 프리드리히 2세.
로마인의 황제
이탈리아왕
재위 1220년 11월 22일 - 1250년 12월 13일
대관식 1220년 11월 22일
전임 오토 4세
후임 콘라트 4세
로마인의 왕
재위 1212년 - 1120년
대관식 1212년 12월 9일 (마인츠)
1215년 7월 25일 (아헨)
전임 오토 4세
후임 하인리히 (7세)
시칠리아 국왕
재위 1198년 - 1250년
대관식 1198년 9월 3일 (팔레르모)
전임 하인리히 6세
후임 콘라트 4세
예루살렘왕
재위 1225년 - 1228년
대관식 1229년 3월 18일 예루살렘
전임 이사벨 2세
후임 콘라드 2세
신상정보
출생일 1194년 12월 26일
출생지 예지
사망일 1250년 12월 13일
사망지 토레마죠레
가문 호엔슈타우펜가
부친 하인리히 6세
모친 쿠스탄차 1세
배우자 콘스탄차 다라곤 왕녀
이사벨 2세
잉글랜드 왕녀 이사벨라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
묘소 팔레르모 대성당

프리드리히 2세(Friedrich II, 1194년 12월 26일 ~ 1250년 12월 13일)는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으로는 마지막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재위 : 1220년 ~ 1250년 12월 13일)이다. 시칠리아 왕(재위 : 1197년 ~ 1250년), 독일 국왕, 예루살렘 국왕도 겸했다. 이탈리아 역사계에서는 이탈리아 이름인 페데리코 2세(Federico II)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여러차례 파문을 당했는데, 고집 세고 급진적인 성격 때문에 교황들과 반목하였고 이탈리아와 시칠리아를 통합하려는 야망[1]을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여성편력으로 20명이 넘는 자녀를 두었으며 상식밖의 언행으로 인해 기인이라는 평가도 있지민 타문화에 대한 포용력이 넓은 편이었다.[2]

학문과 예술을 좋아했으며, 시대에 앞장선 근대적인 군주같은 행동때문에 스위스의 역사가인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프리드리히 2세를 「왕좌에 있는 사람 중 최초의 근대인」이라고 평가했다.[3][4]. 중세에서는 가장 진보적인 군주로 평가되어[5], 같은 시대에 쓰여진 연대기에서는 「세계의 경이」라며 극찬을 했다.[6]

생애

신성로마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의 외아들로 이탈리아 예지에서 태어난후 이탈리아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어머니는 시칠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 루제로 2세의 딸 콘스탄차다. 결혼한 지 9년만에 마흔살이 된 왕비가 아들을 낳자 출생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7]

1197년 세살때 아버지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하고 이듬해 어머니 쿠스탄차 1세가 죽자 시칠리아의 통치권을 물려받아 피디리쿠 1세로 즉위하였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시칠리아에 많이 살고 있던 이슬람인이나 유대인과 어울리면서 편견에서 해방된 사고를 가졌다. 그리스어라틴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와 이슬람의 과학을 배우기 위해 공부한 아랍어에 능통했다.

특히 수학과 기하학, 천문학에 관심이 있어 이탈리아 나폴리에 대학을 세우고 자신이 태어나고 자랐던 팔레르모 궁전 안에 연구소를 세웠다. 이 연구소에 여러 철학자와 과학자 및 문학자들이 모여 들었다. 이때 시인들은 토스카나 방언(이탈리아어의 모체)으로 시를 쓰며 시칠리아 학파를 형성했다. 황제 스스로도 시를 지었다.

프리드리히 2세는 첫 번째 아내와 사별한 뒤 예루살렘 왕의 외동딸과 결혼하여 예루살렘 왕이라는 칭호도 얻었다.또한 그는 고대 로마 제국과 같은 제국을 세우기 위해 시칠리아 왕국에서 독립된 법전을 만들고 나폴리 대학도 만드는 등 교황의 신권정치를 배제하여 이탈리아를 독립시키고 절대주의적인 체제하에 두고자 하였다(멜피헌장). 그리하여 자신이 없는 독일에 아들 하인리히를 독일 왕으로 세우고 독일을 속주 상태로 두기위해 독일의 성직자 그리고 세속제후들과 성스러운 제후와의 협정과 제후들의 이익을 위한 협정을 맺지만 결국 이두 협정이 그의 구상을 망치고 아들 하인리히의 반란까지 부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평소에 식사는 검소적이며, 음주도 하지 않았지만, 그가 열었던 연회는 호사스러울 정도였으며, 르네상스 시대를 먼저 살았다고 생각할 정도의 궁정생활을 보냈다.[8] 프리드리히의 용모에 대해서는 같은 시대의 유럽 사람들은 전부 칭찬했다고 하지만[9], 이슬람의 연대기 작자는 그를 「벗겨진 붉은 머리에 아는 것도 없어서 노예였다면 절대 가격이 높지는 않을 것이다」라며 풍채가 좋지 않는 인물로 기록했다.[10]

사후

프리드리히 2세가 죽은 뒤 아들 콘라트 4세는 황제가 되지도 못한 채 4년 후 이탈리아에서 죽었고 콘라트 4세의 아들 콘라딘 역시 탈리아코초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16세에 나폴리에서 사망했다.

자녀

여성 편력으로 20명이 넘는 자식들을 낳았지만 공식적으로는 4명의 여인을 통해 6남 5녀의 자녀를 낳았다.

  • 아라곤 공주 곤스탄자(Gonstanza, 1179년 ~ 1222년)와의 소생(1남)
  • 예루살렘 여왕 이사벨 2세(Isabelle II, 1212년 ~ 1228년)와의 소생(1남 1녀)
  • 잉글랜드 공주 이사벨라(Isabella, 1214년 ~ 1241년)와의 소생(3남 2녀)
    • 1남 요단(Jordan, 1236년 ~ 1236년), 요절
    • 2녀 아그네스(Agnes, 1237년 ~ 1237년), 요절
    • 3남 하인리히(Heinrich, 1238년 ~ 1253년), 예루살렘 국왕 내정자
    • 4남 프리드리히(Friedrich, 1239/1240년 ~ ?년), 요절
    • 5녀 마르가레타(Margartha, 1237년 ~ 1270년), 튀링엔 백작부인
  • 이탈리아 귀족 비앙카 란치아(Bianca Lancia, 1200/1210년 ~ 1244/1246년)와의 소생(1남 2녀)
    • 1녀 콘스탄차(Constanza, 1230/1232년 ~ 1307년), 니케아 황비
    • 2남 만프레디(Manfred, 1232년 ~ 1266년), 시칠리아 국왕
    • 3녀 비올란타(Violanta, 1241년 ~ 1270년), 카제르타 백작부인

업적

프리드리히 2세는 로마 문화, 그리스 문화, 노르만 문화와 이슬람 문화에 기초를 둔 행정 체제와 통치 제도를 발전시켰다.

각주

  1. 존 줄리어스 노리치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8.5 p377
  2. [네이버 지식백과] 프리드리히 2세 [Frederick II] -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마지막 신성로마제국 황제 (독일 왕가, 임동욱)
  3. 기쿠치『신성 로마 제국』、110
  4. 루이스「프리드리히 2세」『세계 전기 대사전 세계편』9권、134頁
  5. Reynolds, Francis J., 편집. (1921). 〈Frederick II.〉. 《콜리어스 새 백과사전》. 뉴욕: P.F. Collier & Son Company. 
  6. 루이스「프리드리히 2세」『세계 전기 대사전 세계편』9권、136頁
  7. 마틴 키친 <케임브리지 독일사>시공사 2004.10.15, p75
  8. 코모리야『시칠리아 역사기행』、163頁
  9. カントローヴィチ『황제 프리드리히 2세』、401頁
  10. 기쿠치『신성 로마 제국』、111頁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2세


전임
콘스탄차
시칠리아 왕
1198년 - 1250년
후임
코라도 1세
전임
장 1세
욜란데
예루살렘 왕
욜란데와의 결혼으로 즉위
1225년 - 1228년
후임
콘라드 2세
전임
오토 4세
독일 왕
(공식적으로는 로마왕)
1212년 - 1220년
후임
하인리히(7세)
전임
오토 4세
이탈리아 왕(임기:1212-50)
신성로마황제
1220년 - 1250년
후임
콘라트 4세
(수십 년간의 대공위시대)
  • v
  • t
  • e
Imperator Romanus Sacer
서로마 황제
카를 왕조
(카롤링거 제국 서로마 황제)
오토 왕조

로마 황제
잘리어 왕조
주플린부르크조
신성 황제
호엔슈타우펜 왕조
벨프 왕조
호엔슈타우펜 왕조
  • 프리드리히 2세
신성로마황제
룩셈부르크 왕조
  • 하인리히 7세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4세
룩셈부르크 왕조
독일국민의
신성로마황제
합스부르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v
  • t
  • e
동프랑크인의 왕 (843년–918년)
독일인의 왕 (918년–962년)
로마인의 황제 (962년–1806년)
라인 동맹 보호자 (1806년–1813년)
독일 연방 의장 (1815년–1848년)
독일인의 황제 (1849년-1850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제위 거부)
독일 연방 의장 (1850년–1866년)
북독일 연방 의장 (1867년–1871년)
독일 황제 (1871년–1918년)
  • v
  • t
  • e
이탈리아 국왕
Re d'Italia
이탈리아 왕국
(헤룰리 왕국)

(476~493년)
이탈리아 왕국
(동고트 왕국)

(493~553년)
전 이탈리아 왕국
(랑고바르드 왕국)

(568~774년)
  • 알보이누스
  • 클레프
  • 아우타리
  • 아길룰푸스
  • 아달로알두스
  • 아리오알두스
  • 로타리
  • 로도알두스
  • 아리페르투스 1세
  • 베르타리두스
  • 고데페르투스
  • 그리모알두스
  • 가리발두스
  • 베르타리두스
  • 알라히스
  • 쿠니페르투스
  • 리우트페르투스
  • 라긴페르투스
  • 아리페르투스 2세
  • 안스프란두스
  • 리우트프란두스
  • 힐데프란두스
  • 라트키스
  • 아이스툴푸스
  • 데시데리우스
  • 아델키스
카롤루스 제국 내의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774~888년)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내의
봉건 난립기

(888~962년)
신성 로마 제국 내의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963~1806년)
이탈리아 왕국

(1805~1814년)
이탈리아 왕국

(1861~1946년)
  • v
  • t
  • e
Munarchi di Sicilia
시칠리아 백국
(1071년-1130년)
아우타빌라가
시칠리아 왕국
(1130년-1816년)
아우타빌라가
호헨스타우펜가
안조가
시칠리아 아라구니시가
공위기
-
트라스타마라가
스파그나 압스부르구가
스파그나 부르보나가
사보이아가
아우스트리아 압스부르구가
나폴리 부르보나가
  • 카를루 5세*
  • 피르디난누 3세*
양시칠리아 국왕 » 
*나폴리 국왕 겸임.
  • v
  • t
  • e
슈바벤 공작
Herzog von Schwaben
부족공국
콘라트조
  • 콘라트 1세
  • 헤르만 2세
  • 헤르만 3세
바벤베르크가
  • 에른스트 1세
  • 에른스트 2세
  • 헤르만 4세
  • 하인리히 1세
  • 오토 2세
  • 오토 3세
  • 루돌프 1세
  • 베르톨트 1세
  • 베르톨트 2세
호엔슈타우펜가
(1079년–1268년)
  • 프리드리히 1세
  • 프리드리히 2세
  • 프리드리히 3세
  • 프리드리히 4세
  • 프리드리히 5세
  • 프리드리히 6세
  • 콘라트 2세
  • 필리프
  • 프리드리히 7세
  • 하인리히 2세
  • 콘라트 3세
  • 콘라트 4세
합스부르크가
(1283년–1309년)
  • 루돌프
  • 요한 파리치다
  • v
  • t
  • e
오트빌가
  • (타란토 백작):
  • 고프레드
  • 성 리카르도
    • 피에트로네
  • 로베르토
호엔슈타우펜가
앙주 카페가
  • 카를로 1세
  • 카를로 2세
  • 필리포 1세
  • 로베르토 2세
  • 루이지 1세
  • 필리포 2세
발라초가
  • 자코모
구엘프가
  • 오토네
오르시니가
  • 라이몬도
  • 라디슬라오 1세
  • 자코모
  • 조반니
  • 이사벨
  • v
  • t
  • e
십자군 관련 지도자
클레르몽 교회회의
십자군
군중 십자군
십자군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제1차 십자군
십자군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제2차 십자군
십자군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제3차 십자군
십자군
이슬람
제4차 십자군
십자군
동로마 제국
헝가리
  • 임레
불가리아
알비 십자군
십자군
툴루즈
  • 레몽 6세
  • 레몽 7세
제5차 십자군
십자군
제6차 십자군
십자군
  • 프리드리히 2세
이슬람
제7차 십자군
십자군
이슬람
제8차 십자군
십자군
이슬람
  • v
  • t
  • e
체데에프 선정(2003년) 위대한 독일인
Unsere Besten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FAST
  • ISNI
  • VIAF
  • 월드캣
국가
  • 노르웨이
  • 스페인
  • 프랑스
  • BnF 데이터
  • 카탈루냐
  • 독일
  • 이탈리아
  • 이스라엘
  • 벨기에
  • 미국
  • 스웨덴
  • 라트비아
  • 일본
  • 체코
  • 오스트레일리아
  • 네덜란드
  • 폴란드
  • 바티칸
학술
  • CiNii
  • zbMATH
아티스트
  • ULAN
인물
  • 이탈리아 인물
  • Deutsche Biographie
  • Trove
기타
  • 스위스 역사 사전
  • SNAC
  • Id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