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이와테현 해역 지진

북위 39° 39.2′ 동경 142° 46.0′  / 북위 39.6533° 동경 142.7667°  / 39.6533; 142.7667종류판 경계 섭입형 지진

2011년 이와테현 해역 지진은 2011년 3월 11일 오후 3시 8분 일본 이와테현 앞바다에서 일어난 규모 M7.4의 지진이다.[1] 이 지진은 같은 날 오후 2시 46분에 일어났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여진이다.[2] 이 여진으로 아오모리 현과 이와테 현 일부에 진도 5약의 진동을 감지했고, 홋카이도와 긴키 지역 전역에 진도 4 이상의 진동을 감지했다.

단층은 동서 45km, 남북 40km의 크기이며 본진의 초기 단층파괴 시작점(진원)보다 육지 쪽에 가까웠다. 본진 당시 단층 파괴가 크지 않은 곳에서 일어났다. 최대 단층 미끄럼량은 3.9m였다.[1]

이 지진은 관측 기록상으로는 알 수 없으나 진원 위치와 깊이, 지진 발생 구조 상 본진과 비슷해 지진 해일이 크게 일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본진으로 만들어진 지진 해일에 영향을 주고 이후 덮친 해일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3]

진도

진도4 이상의 흔들림을 관측한 곳은 다음과 같다.[4]

진도 도도부현 시구정촌
5약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시치노헤정 도호쿠정 고노헤정 난부정 하시카미정 오이라세정 히가시도리촌
이와테현 후다이촌 모리오카시 니노헤시 다키자와 촌 야하바정
4 홋카이도 신치토세 공항 하코다테시 무카와정 니캇푸정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히라나이정 쓰가루시 소토가하마정 후지사키정 히라카와시 도와다시 미사와시 노헤지정 로쿠노헤정 요코하마정 롯카쇼촌 산노헤정 닷코정 신고촌 무쓰시
이와테현 미야코시 구지시 야마다정 다노하타촌 노다촌 히로노정 오후나토시 시즈쿠이시정 구즈마키정 하나마키시 기타카미시 도노시 이치노세키시 가네가사키정 히라이즈미정 니시와가정 오슈시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와쿠야정 구리하라시 도메시 미나미산리쿠정 오사키시 마루모리정 마쓰시마정
아키타현 이카와정 아키타시 유리혼조시 니카호시 오다테시 요코테시 미사토정 다이센시
야마가타현 사카타시 나카야마정

각주

  1. “3月11日 岩手県沖の地震 近地強震波形による震源過程解析(暫定)” (PDF). 일본 기상청. 2012년 6월 19일. 2018년 1월 8일에 확인함. 
  2. “気象庁技術報告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調査報告 第1章 地震” (PDF). 일본 기상청. 2012년. 2018년 1월 8일에 확인함. 
  3. “気象庁技術報告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調査報告 第2章 津波” (PDF). 일본 기상청. 2012년. 2018년 1월 8일에 확인함. 
  4.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 기상청. 2011년 3월 11일. 2018년 1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2011년 이와테현 해역 지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v
  • t
  • e
지리학영향 지역주요 전진 및 여진
지진 피해
피해와 영향
원자력 사고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 연표
  • 방사능 확산
  • 반응
    • 일본 내 반응
    • 국제적 반응
  • 후쿠시마 50인
  •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
  • 일본 원자력안전위원회
  •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 일본 원자력손해배상·폐로등지원기구
  • 원자력사고대책특별조치법
  • 원자력사고피난민특례법
  • 헤이세이 23년 원자력 사고에 인한 피해에 따른 긴급조치에 관련된 법률
  • 방사능물질오염대처특별조치법
  • 일본의 원자력 정책
전력 위기
반응 및 피해 지원
일본 정계
일본 국내
  • 물자 지원
  • 모금 활동
  • 의연금 기부
  • 단체 지원
  • 자선 활동
  • Pray for Japan
  • 도호쿠 로큰 패스티벌
  • 임시재해방송
  • 심리지원센터
  • 임시피난소
  • 가설주택
일본 국외
현대 문화
  • 글 목록
  • 분류 분류
  • 위키미디어 공용 지진 위키공용분류
  • 위키미디어 공용 지진피해 위키공용분류
  • v
  • t
  • e
2011년 지진
1월
2월
3월
4월
5월
  • 멕시코 게레로 (5일, M5.7)
  • 스페인 로르카 (11일, M5.1)
  • 터키 퀴타히아 (19일, M5.8)
6월
7월
  • 일본 산리쿠 (10일, M7.3)
  • 페르가나 계곡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19일, M6.2)
8월
9월
  • 인도네시아 아체 (5일, M6.6)
  • 인도 시킴주 (18일, M6.9)
10월
11월
  • 미국 오클라호마 (6일, M5.7)
  • 터키 반 (10일, M5.6)
12월
  • 멕시코 게레로 (10일, M6.5)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1885년 이후 일본의 지진
1885년-1899년
1885년-1889년
1890년-1899년
1900년-1949년
1900년-1909년
1910년-1919년
1920년-1929년
  • 류가사키 (1921년, M7.0)
  • 우라가 수도 (1922년, M6.8)
  • 시마바라 (1922년, M7.1)
  • 이바라키현 해역 (1923년, M7.1)
  • 규슈 동남쪽 해역 (1923년, M7.3)
  • 간토 지방 (간토 대진재) (1923년, M7.9)
  • 가나가와현 서부 (1924년, M7.3)
  •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24년, M7.5)
  • 이바라키현 해역 (1924년, M7.2)
  • 아바시리 근해 (1924년, M7.0)
  • 기타타지마 (1925년, M6.7)
  •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1926년, M7.0)
  • 미야코섬 근해 (1926년, M7.0)
  • 기타탄고 (1927년, M7.3)
  • 산리쿠 해역 북부 (1928년, M7.0)
1930년-1939년
1940년-1949년
1950년-1999년
1950년-1959년
1960년-1969년
1970년-1979년
1980년-1989년
1990년-1999년
2000년-현재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2020년-현재